<동의보감>이용안내
동의보감이란
- 우리 민족의 위대한 한의학 백과전서 동의보감은 조선 중기의 이의 허준 선생이 1596년(선조 29년)에 왕명을 받아 어의 정작, 이명원, 양레수, 김응탁, 정예남 등과 함께 찬집하였는데, 정유재란으로 일시 중단되었다가 그 뒤 계속되어 1610년에 마침내 완성한 방대한 의학백과사전으로서 당시까지의 국내외의 한의학 발전 자료들 뿐만 아니라 의학, 약학, 생물학, 철학적 내용까지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다.
동의보감의 특징
- 한의학 연구의 필수 고전
- 민족 문화 이해를 위한 지식의 보고
- 대체의학 연구를 위한 필수자료
- 약학 연구를 위한 동식물 및 처방 자료
Web버전의 특징
- 한문 , 원본, 번역본 모두 수록
- 유니코드에 의한 한자 표현
- 5개편, 112개장, 3,543개 중항목, 7,401개 소항목을 Tree 구조로 체계화
- 병명, 약재, 처방, 원주, 법제, 원어 등을 시각화함으로써 체계적인 접근
- 현대 우리말 번역
기존번역과의 차이
Web 버전 | 기존의 동의보감 |
트림[噫氣] | 二十九 噫氣의 경우 |
⃝ 족태음경맥(足太陰經脈)에 시동병(是動病)*이 생기면 배가 불러 오르고 트림을 잘하게 된다. | 足太陰의 脈의 病이 動하면 배가 부르고 트림을 잘 한다. |
⃝ 위기가 실(實)하여 나는 트림은 밥 먹은 뒤에 곧 썩은 내 나는 트림을 하는 것인데 심하면 먹은 것까지 나온다. 이것은 습열 때문에 나는 것이므로 | 氣가 實하여 트림하는 症은 飮食한 뒤에 腐氣를 트림하고 甚하면 物體도 트림해 내니 濕熱의 所致인데 |
⃝ 트림은 음식물의 기가 다시 나오는 것이다. | 噫氣란 것은 食氣를 구을러 내는 것이다. |
CD-ROM과의 차이
Web 버전 | CD동의보감 |
번역, 원문, 고문서 모두 수록 | 번역만 수록 |
완벽하고 빠짐없는 번역 | 신형장부도, 동뇨(童尿) 등 번역 누락 |
전문검색 및 한문에 대한 글자단위 검색 | 전문검색 없음 |
병증, 처방, 약재 등의 색인 | 색인 없음 |
유니코드를 이용한 확장한자 구현 | 자체 확장한자(문서편집기에서 확장한자 소실) |
HTML 방식(도표도 검색 가능) | Text 방식(도표는 이미지) |
한의학 용어사전, 양의학-한의학 병명대조표, 약재 학명비교표 탑재 | 한의학 동의어 사전 탑재 |
이용방법
관리자의 승인에 의해 IP 인증.
화면구성
시작하기
본문 검색
본문 레이아웃
처방에 대한 레이아웃
병명, 문헌명, 처방명, 약재명, 원주, 법제 등의 표시
역주 및 약재 기원